• Papers
  • Projects
  • IPRS
  • Student’s Works
  • Lectures
  • Design Institute
  • Interior Architecture
  • Inje University
  • Contact Us

VRRC

Virtual Reality Media Design Lab, Inje University

Menu
  • Papers
  • Projects
  • IPRS
  • Student’s Works
  • Lectures

국내 중규모 이상 공연문화시설 공간구조분석

pitock 2011-05-31     No Comment     Research

(221+31) arge Scale Domestic Public Performance Cultural Facility Spatial Configuration Analysis

서현, 김선영, 김석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34, pp.5-14, 2011.05.31.

keyword : Performing art center, Space syntax, Spatial configuration

download full paper

연구목적: 1970년대 이후 한국은 사회·경제적 성장에 따라 국민들의 삶의 질이 변화하고 문화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국민들의 공연예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으며 공연문화시설의 수 또한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최근 국내의 공연문화시설은 내부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는 복합화가 일어나고, 다양한 기능의 공간이 추가되어 건물의 크기가 비대해지고 있으며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시설의 공간배치 또한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방문자들이 시설을 사용함에 있어서 공간을 인지하고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공간의 구성요소들이 늘어남에 따라 공간지각과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더욱 증가될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공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국내에 건립된 8개소의 공연문화시설을 대상으로 하여 공간을 유형화하고 이를 Space Syntax에 의해 분석하여 공간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1970년대 이후 국내에 건립된 8개소의 공연문화시설을 대상으로 하여 공간을 유형화하고 이를 Space Syntax에 의해 분석하여 공간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요약되었다.

  1. 공연문화시설의 복합화가 진행됨으로서 다양한 목적의 공간이 생성되었으나 그 중심은 여전히 공연장이며 여러 문화공간들이 공연장 주변에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공간의 통합(integration)적 성질에 따라 순수한 공연중심의 관람공간형(A-Type), 목적별로 기능이 분화되어있는 로비중심형(L-Type), 낮은 통합성에 비해 접근성이 높은 복도중심형(C-Type)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3. 조사대상 공연문화시설의 명료도(intelligibility)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나 관람자의 이용공간 및 관리자 공간의 배치가 인지적 측면에서 잘되어 있었다.
  4. 객석수가 많을수록 이용자의 공간인지가 용이하다.

Purpose:  According to Korea social, economic growth after 1970’s, the quality of life of the citizens changed and the cultural level improved greatly. Upon the effect, the demand expends about performing art of the citizen. Also performance cultural facility is extending rapidly.
Recently domestic performance cultural facility is mixed to add the function to the inside, and the size of building is expanded because of adding various function of space. According to add the function, special layout of facility also is changing complicatedly.
Therefore, the visitors are hard to understand recognizing a space to use facility. As composing elements of space increasing, many problems which relate with a space perception will more increase. But the research which graps the quality of space was overlooked relatively.
The research was focused on 8 performing cultural facilities which were erected after 1970’s in domestic. These in the objects, this study analyzed spatial configuration then grasped the feature of space by analyzing by Space Syntax.

Methods: The research was focused on 8 performing cultural facilities which were erected after 1970’s in domestic. These in the objects, this study analyzed spatial configuration then grasped the feature of space by analyzing by Space Syntax.

Results:  The research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enter of spaces is performing art facilities still while this phenomenon will continue.
  2. Performing art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type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3. The performing art center’s managers use the space, the separation of space and the audience concluded that a well placed.
  4. The number of seats are help the user’s space perception easy.
Research
Spatial Configuration

 Previous Post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소재 캠퍼스를 중심으로

― 2011-04-25

Next Post 

신고전주의 뮤지엄의 공간구조분석과 전시영역특성에 관한 연구

― 2011-06-30

Related Articles

기능과 복도유형에 따른 요양병원 외래진료부 중앙진료부의 공간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른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행위자기반모형을 적용한 공간구조분석 기초연구
기능과 복도유형에 따른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조특성 분석
공간구문론에 기초한 건강검진센터 동선효율성 분석 연구 : 국가검진프로그램을 수용하는 수검자 관점을 중심으로

Leave a Reply Cancel reply

Categories

  • Home (5)
  • IPRS (32)
  • Project (51)
  • Research (63)
  • Student's Works (4)

Recent Posts

1
보행자 기반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건강검진센터 공간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2
노인요양시설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한 거주자지향케어 체크리스트
3
소규모 주택을 위한 다용도 책장
4
부산도시보건소의 기능별 공간구성 및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5
기능과 복도유형에 따른 요양병원 외래진료부 중앙진료부의 공간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Tags

3D Simulation ABM Ageing AHP Apartment Architectural Design CAD Competition Computer Graphic Concept Design Construction Design Database DEVS DIgital Space Design Drawing Standardization Education Environmental Design Exhibition Game Graphic Engine Healthcare Design Housing Interior Design IT Project KCI Monument Design Office Park Patent Schematic Design Space Syntax Spatial Configuration Street Design Virtual Reality Web Design Web Programming
Copyright © VRRC Lab, Inje University